본문 바로가기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알아두면 도움되는 잡학 정보

국경일이란? - 국경일의 의미와 5대 국경일에 대해 알아보자.

by §∞∂⁋⏆ 2022. 9. 17.
728x90

국경일이 되면 국경일의 의미를 알고 기념하기보다, 빨간 날이기에 일을 쉰다는 생각에 늘 설레기만 했었는대요. 그러다 보니 국경일이 무슨 의미인지 점차 헷갈리게 되고 그 의미가 잊혀가는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국경일에 대해 알아보았는대요. 지금부터 국경일의 의미, 제헌절• 광복절 등 5대 국경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경일이란?

 

나라의 경사스러운 날을 축하하기 위하여 법으로 정하여 온 국민이 기념하는 날을 의미.  

 

 

국경일은 1949년 10월 1일 법률 제 53호로 공포한 <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지정되었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국경일은  3•1절(3월 1일) , 제헌절(7월 17일), 광복절(8월 15일), 개천절(10월 3일), 한글날(10월 9일)이 있어요. 

 

국경일 대부분은 공휴일로 정해져있고, 나라에서 각종 기념식과 축하하는 행사를 하고 있어요. 또한 가정에서는 국기를 게양하며 국경일을 기념하곤 해요. 

 

위에서 언급한것처럼 우리나라에는 5대 국경일이 있는대요. 5대 국경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5대 국경일

✔️ 3•1 절이란?

1919년 3월 1일에 일어난 기미 독립운동을 기념하는 날. 

 

✔️ 제헌절이란?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 헌법의 제정•공포를 경축하는 날.

 

✔️ 광복절이란?

1945년 8월 15일 국권을 회복한 날로서, 국경일 중 가장 경사스러운 날. 

 

✔️ 개천절이란?

10월 3일로, 서기전 2333년 단군이 처음으로 우리나라를 세운 것을 기념하는 날. 

 

✔️ 한글날이란?

10월 9일로, 1446년 10월 9일에 빛나는 문화유산인 한글을 반포한 것을 기념하는 날. 

 

 

 

3•1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과는 다르게 제헌절은 국경일이지만 공휴일이 아니어서 쉬지 않고 있어요.

저도 국경일에 대해 알아보면서 국경일, 공휴일, 기념일이 다 다른 의미라는 것을 알게 되었는대요. 다음에는 세 가지의 개념과 차이에 대해서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모두들 이번 글을 통해 국경일의 의미에 대해 기억하고, 감사하고 기념하는 마음을 가졌으면 좋겠어요. 

 

 

 

댓글